상대방이 원하는것을 해주어야 고마음 을 느끼는것이다
** 대기업 사장으로 은퇴한 선배의 이야기다.
은퇴하던 날, 느닷 없이 아내가 고마워지더란다
이토록 명예롭게 은퇴하는 것이 다 아내의 덕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해외와 지방을 전전하느라 가족과 함께 지낸 날도 얼마 되지 않았다.
그래도 자식들이 번듯하게 자라준 것은 다 아내 덕분이다.
선배는 그날 결심했다. 나머지 세월은 아내를 위해 살겠다고...
그날 이후 선배는 아내와 국내외 여행, 골프 여행을 쉬지 않고 다녔다.
젊은 시절 고생한 만큼 그 정도 여유는 있었다.
백화점에서 아내의 핸드백을 들어주고 아내가 사고 싶은 옷을 결정할 때까지 기다린다
스커트 하나 사는데도 아내의 결정은 여전히 오래 걸렸다
이전 같으면 이내 짜증내고 돌아섰겠지만 지금은 아니다.
그러나 그다지 못할 일도 아니었다. 아내도 즐거워하는 듯했다.
아, 이렇게 사는 것이 행복이로구나
이런 노후가 있으려고 내가 그렇게
고생을 했구나...이런 생각도 들었다
그렇게 한 석 달이 지났다.
어느날 아침 식탁에서 갑자기 아내가 진지한 얼굴로 할 말이 있단다.
그리고 답답한 표정으로 이렇게 말하는 것이 아닌가!
"당신 이제 좀 혼자 나가서 놀 수 없어?"
아내의 생각은 달랐던 거다. 평생 고생한 남편을 위로하느라 참고 함께
다녔다는 거다. 하나도 재미가 없었지만 참고 따라 다녔을 뿐이었다.
선배는 내 앞에서 한숨만 푹푹 쉬었다. 이제 어쩌면 좋으냐는 거다.
회사가 있고 함께 몰려다닐 동료가 있을 때는 이런 아내의 푸념 정도야 웃어 넘길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젠 아니다. 아내와 앞으로 적어도 30년은
더 살아야 할 것 아닌가...
흔히들 착각한다. 열심히 일하면 나중에 행복해질 거라고
그러나 지금 행복하지 않으면 나중에는 행복해질 수 없다
도대체 행복이 어떤 것인지 알아야 행복해질 수 있도록 애쓰지 않겠는가
아내와도 마찬가지다. 함께 행복했던 기억이 있어야 행복해질 것 아닌가?
경험도 없고 방법도 모르는데, 어떻게 갑자기 행복해질 수 있겠는가?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카네만 교수는 행복을 아주 간단하게 정의한다
"기분 좋은 시간이 길면 길수록 행복하다"
부부도 마찬가지다. 동네 어귀를 손잡고 산책하거나 노천 까페에 앉아 함께 커피를 마실 때 기분이 좋았다면 그 일을 반복하면 된다. 팔짱 끼고 음악회를 가던 일이 좋았다면 그 일도 다시 해볼만 하다. 잘 차려 입은 아내를 본 기억이 정말 오래되지 않았는가?
함께 시간을 보내야 행복할 거라는 강박에서도 자유로울 필요가 있다.
'따로 또 같이' 즐길 수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분명히 알아야 한다. 죽을 때까지 정말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 지도 모르고 죽는 것이 태반이다. 재미에 대한 환상을 버리면 된다. 세상이 뒤집어지는 재미만 기대하니 소소한 일상의 재미는 별로다. 세상이 자주 뒤집어지지 않으니 맨날 폭탄주로 내 속만 자꾸 뒤집는 거다.
내 친구는 새소리 듣는게 그렇게 재미 있단다.
소리만 듣고 50여 종류의 새를 구별할 수 있단다.
그러니 새소리만 들으면 기분이 좋아질 수 밖에...
기분 나쁠 때면 새소리를 들으러 가면 된다. 언제든 행복해질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렇게 세상은 온통 재미 있는 일 천지다.
다 늙어서 '나가 놀아라'는 말을 듣기 전에
내가 좋아하는 것부터 분명히 알아차려야 한다
그래야 아내도 나를 귀찮은 존재로 여기지 않는다
내가 재미 있어 해야 아내도 함께 있는 것을 행복해 한다
<김정운 명지대 교수>
-----------------------------------------------------------
대인관계는 겸손하고 나 를 낮추는데는데부터 시작된다
조화로운 인간 관계란 주는 마음에서부터 시작된다.
받고자 하는 마음이 앞서면 상대는 문을 열지 않는다.
문을 열기는 커녕 경계하는 마음이 된다. 주는 마음은 열린 마음이다.
내 것을 고집하지 않고 남의 것을 받아들이는 마음이다.
그의 말을 들어주고 그의 마음을 받아 주는 것, 그것이 열린 마음이다.
무엇인가를 애써 주려고 하지 않아도
열린 마음이면 그것으로 족하다. 그냥 열린 마음으로 있어라.
가만히 있어도 열린 마음이면 그건 주는 마음이다.
나를 낮추는 것은 열린 마음의 시작이다.
나를 낮추고 또 낮춰 저 평지와 같은 마음이 되면
거기엔 더 이상 울타리가 없다. 벽도 없고 담장도 없다.
넓디 넓은 들판엔 수많은 꽃들이 다투어 피고
뭇 짐승들이 와서 머물고 머물다가는 떠난다.
그러나 거기엔 아무런 시비도 없다. 갈등도 없다.
장애도 없다. 거칠 것이 없기 때문이다.
고로 주는 마음은 열린 마음이요, 열린 마음은 자유로운 마음이다.
울타리가 좁으면 들어 설 자리도 좁다. 많이 쌓고 싶으면 울타리를 넓게 쳐라.
더 많이 쌓고 싶으면 아예 울타리를 허물어라.
넓은 들판엔 아무리 많은 양을 쌓아 놓아도 여전히 빈 자리가 남는다.
열린 마음은 강하다. 아무것도 지킬 게 없으니 누구와도 맞설 일이 없다.
맞서지 않으니 누구도 대적하려 하지 않는다.
그 마음은 곧 허공과 같을 진대 누가 감히 꺾으려 들겠는가.
높이 오를수록 낮아져야 한다.
많이 가질수록 가난해져야 한다. 목에 힘을 빼고 어깨에 힘을 빼라.
나를 낮추고 마음을 열어라. 진정 강해지려면,
어디에도 구속받지 않는 자유인이 되려면,
마음을 열고 끝없이 자신을 낮추어라.
저 광활한 들판이 어떤 것과도 자리 다툼을 하지 않듯이
열린 마음에는 일체의 시비가 끼어들지 않는다.
그리되면 모두가 나와 더불어 살고 아낌없이 나누기를 즐겨 할 것이다.
거기에 자유인의 길이 있다.
세상에 제 아무리 높은 것이라도 세우지 않은 것과 높이를 다툴 수는 없다.
그래서 낮은 것이 높은 것이고 열린 마음이 강하다는 것이다.
손은 두 사람을 묶을 수도 있지만 서로를 밀어 낼 수도 있다.
손가락은 두 사람을 연결시키기도 하지만 접으면 주먹으로 변하기도 한다.
많은 사람들이 어색하게 두 손을 내린채로 서서 서로를 붙잡지 못하고 있다.
지혜와 어리석음이 모두 손에 달려있다.
그런데 그 손을 움직이는 것은 마음이다.
준비되지 못한 내마음 준비되지 못한 어리석은 내손..
남에게 손가락질 할 때마다
세개의 손가락은 항상 자기 자신을 가리키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좋은글 중에서-
'자유공간 > 일반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망자 유족을 보여주지 않는 일본의 NHK방송 (0) | 2012.02.15 |
---|---|
참말로 부끄러워요 (0) | 2012.02.15 |
김태우박사 뉴욕 강연회 큰 화제 (0) | 2012.02.15 |
화난 아들과 말리는 어머니 (0) | 2012.02.14 |
세계에서 제일 희한한 나라 (0) | 2012.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