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10

족보상식

족보상식 열이 담겨있는 족보를 경건한 마음으로 모셔야 하고, 소중히 간직하기 위해서는 족보 편수하는 방법이나 구성, 체재 등 열람하는 방법을 숙지 하여야한다. 족보(族譜)란? 부계(父系)를 중심으로 혈연관계(血緣關係)를 도표식으로 나타낸 한 종족의 계보(系譜). 일명 보첩(譜牒) ·세보(世譜) ·세계(世系) ·가승(家乘) ·가첩(家牒) ·가보(家譜) ·성보(姓譜)라고도 한다. 국가의 사승(史乘)과 같은 것으로, 조상을 존경하고 종족의 단결을 뜻하며, 후손으로 하여금 촌수의 멀고 가까움에 관계치 않고 화목의 풍을 이루게 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족보는 존비(尊卑) ·항렬(行列) ·적서(嫡庶)의 구별을 명백히 하고 있다. 본래 족보는 중국에서 비롯된 것으로, 후한(後漢) 이후 중앙 또는 지방에 대대로 고관..

김해김씨 종친회 사진방

선조의 존영 시조대왕과 왕후허씨의 존영 흥무대왕(김유신) 어진 김수로 왕릉 소재지:경남 김해시 서상동 312 숭선전과 숭안전으로 들어가는 포덕문(布德門) 숭안전(崇安殿) 가락국 2대에서 9대까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곳입니다. 숭인문(崇仁門) 숭선전과 안향각으로 들어가는 문입니다. 안향각(安香閣), 1824년에 건립된 건물로 춘추제례 때 사용할 향(香)과 촉(燭)을 하사 받아 보관하던 곳입니다. 왼쪽 건물이 시조대왕의 신위를 모시는 숭선전이다. 숭선전(崇善殿) 시조대왕 (김수로)의 신위를 모신곳이다. 수로왕릉(首露王陵, 사적 제73호), 왕릉(봉황대)의 동북쪽 평지에 조상되어 있는데 원형 본토분으로 높이는 약 5 m입니다. 규모가 크거나 꾸밈이 화려하지 않은 평범한 무덤이었습니다. 우리 가락종친의 가..

제수 진설법

제 1 열 술잔과 메(밥), 떡국(설), 송편(추석)을 놓는 줄. 앞에서 보아 떡국(송편)은 우측에 술잔은 좌측에 차린다. 시접(수저와 대접)은 한 분만 모실 때는 앞에서 보아 왼쪽에 올리며, 두 분을 함께 모실 때는 중간 부분에 올린다. 제 2 열 적(炙)과 전(煎)을 놓는 줄. 어동육서(魚東肉西 3적으로 육적, 어적, 소적의 순서로 올린다. * 적 : 생선이나 고기를 대꼬챙이에 꿰어서 양념하여 구운 음식 * 전 : 재료에 밀가루를 묻혀서 프라이팬에 부친 음식(부침개) 제 3 열 탕을 놓는 줄. 3탕 - 육탕, 소탕, 어탕의 순으로 올리며, 5탕 - 봉탕(닭, 오리탕), 잡탕 등을 더 올린다. 제 4 열 포와 나물을 놓는 줄. 좌포우혜(左鮑右醯) 좌측 끝에는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를 쓰며 우측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