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씨(姓氏)의 유래(由來)와 창씨개명(創氏改名)
원래「성姓」은「계집녀女」와「날생生」을 합친 글자로, 여자 쪽의 계보를 알려주는 것이었고「씨氏」는 남자 쪽의 계보를 알려 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사회가 여자 중심에서 남자 중심으로 바뀌자, 성과 씨도 모두 남자 쪽으로 뒤 바뀌게 되었다.
원래 고대 중국(中國)에는 이름이 따로 없었고 그 사람의 출신지역(出身地域)의 명칭(名稱)을 그대로 그 사람의 이름으로 사용하곤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최근(最近)까지도 부녀자(婦女子)들을 부를 때 그 사람의 친정동네 이름을 따서 밀양 댁, 김포 댁, 부산 댁, 합천 댁, 하며 부르는 것과 같은 원리였다.
고대 중국에서는 어떤 사람이 이사(移徙)를 가면 그 사람의 이름도 이사 간 지방의 명칭으로 바꾸어 부르곤 하였다. 황제의 경우 헌원(軒轅)에서 태어났다 하여 헌원씨, 희수(稀壽)근처에서 살았다 하여 희씨, 유웅(有熊)에서 나라를 세웠다 하여 유웅씨, 또 훌륭한 사람의 손자라하여 공손(公孫)씨라 부르는 등 이름이 여러 가지였다.
그러나 인구가 늘어나면서 특정지역(特定地域) 출신이 너무 많아지자 지역 이름만 가지고서는 사람을 구별할 수 없게 되어 좀 더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이름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사람을 부를 때 개별적인 이름을 같이 부르는 방식을 새로 개발하였는데, 이 때 그 출신지역 이름을 성씨(姓氏)라 하였고 개별적 명칭은 이름이라 하였다, 그래서 중국의 성씨들은 대부분 진(秦), 서(徐), 송(宋) 등과 같이 중국의 나라 이름 또는 지역 이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세월이 갈수록 남자 중심의 사회는 점차 대규모의 국가로 확장되어갔는데, 나라에 공이 큰 사람들 에게 천자(天子)가 성(姓) 또는 씨(氏)를, 제후(諸侯)가 씨를 내려 주었다고 하는데, 성씨를 받는다는 것은 귀족의 일원으로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성씨를 받는 사람들로서는 대단한 영광이었다. 어떤 제후의 나라가 망했을 때에도 그 자손들이 그 제후의 후손임을 남들에게 알리고 뼈대 있는 가문의 후손임을 스스로 나타내기 위하여 씨를 만들어 가지기도 하였다고 한다. 여기서 천자(天子)란 중국 전체를 지배하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며, 제후(諸侯)란 천자의 명을 받아 어떤 땅을 다스리는 귀족들을 말 한다.
우리나라의 임금들은 중국의 침략을 예방하기 위하여 형식적으로 중국 변방의 한 제후라고 자칭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것을 사대주의라고 볼 수도 있지만 우리나라가 강대국의 변두리에서 다치지 않고 살아남기 위한 외교적 지혜의 한 방편이었다고 보는 것이 더 옳을 것이다. 신라(新羅) 삼국통일(三國統一) 이전까지만 해도 중국 동부여에 뿌리를 둔 고구려(高句麗), 백제(百濟)의 왕족(王族), 가야(伽倻)을 제외하고는 우리나라 사람 대부분이 성씨가 없었다, 을지문덕, 연개소문 등도 성이「을지」,「연개」가 아니었다.
신라왕족이 백제, 고구려를 없애기 위하여 당나라의 손을 잡으려고 앞장서서 중국식으로 창씨개명(創氏改名 : 성씨도 새로 만들고 이름도 고치는 것) 한 것이 우리나라 사람이 성씨를 가지기 시작한 시초였다, 신라는 작은 나라이지만 부르는 호칭을 강대국인 중국과 같은 방식으로 바꾸어서 세계화를 꾀하는 한편, 신라왕족의 자존심도 높이자는 것이었다, 또한 일반 백성들과 호칭부터 달리 해서 무언가 구별을 해 두자는 속셈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창씨 하는 방법 만큼은 중국과 완전히 같지 않았으니, 성씨를 지역이름에서 따지 않고 자기네들 조상의 어떤 특징에서 따오는 방법을 택하기도 하였다.
전설 속의 조상이기는 하지만 알지나 수로(首露)의 알이 금(金)빛이었다 해서 금씨(金氏)라고 하고 혁거세의 알이 박 만큼 크다고 해서 박 씨라 하여, 이미 죽고 없는 조상들에게도 성씨를 주고 자신들도 성씨를 만들어 가졌다. 이들 중 금(金)씨의 신라 왕족의 후손들은 조선 초기에 와서 성씨가 건방지게 너무 좋다는 이유로 이 씨 왕족의 미움을 사서 금(金)의 발음이 김(金)으로 강제변경을 당하는 비운을 당하기도 하였다.
서양 사람들은 성씨 만드는 방법은 우리 동양과 좀 다른데, 훌륭한 업적을 남긴 조상의 이름이나 대대로 내려오는 직업의 명칭을 가지고 성씨를 만들곤 했다. 존(John )왕의 자손으로 존슨(Johnson), 리차드(Richard) 임금의 자손은 리차드 슨(Richardson), 아더(Arthur)왕의 자손은 맥아드(MacArthur), 여왕의 자손은 맥퀸(MacQueen), 빵집의 아들들은 베이커(Baker), 대장장이의 아들 들은 스미스(Smith)등을 성씨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우리나라에서 성씨를 가지고 있던 사람들은 대개 세 가지 부류로 나 뉘어 진다. 첫 재는 위와 같은 왕족 출신이고, 둘째는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귀화해 살던 사람들의 후손들이고, 셋째는 임금으로부터 성씨를 하사 받은 사람들이다.
신라 유리왕(儒理王)이 신라를 세우는데 공이 컸던 6촌 촌장의 자손들에게 이(李)⦁최(崔)⦁정(鄭)⦁손(孫)⦁배(裵)⦁설(薛) 등의 성씨(姓氏)를 내려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원래 신라는 이 6촌의 촌장들이 다스리고 있었는데, 이들이 혁거세를 임금으로 추대하여 신라가 세워 졌다고 한다.
고조선시대에도 임금이 성씨를 내려주었다는 기록은 많다, 그러나 어느 성씨든 중국의 성씨와 같은 것이 많아 성씨만 보고서는 그 성씨가 중국에서부터 우리나라로 귀화한 사람의 자손인지, 우리나라 임금으로부터 성씨를 선물 받은 사람의 후손인지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어쨌든 1900년 대 초 일본이 우리나라 사람들의 호적 정리할 때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국민의 54%가 성씨가 없었다고 한다, 이 때 일본은 아무 성씨라도 가지고 오면 다 호적에 올려준다 하였는데, 하인이나 머슴 출신들은 주인댁이나 동네 몰락한 선비들에게 성씨를 얻어 와서 신고를 하였고, 그 결과로 우리나라사람들은 대부분 성씨를 가지게 되었다. 가문과 혈통을 따지며 성씨를 가지고 큰소리치던 양반들에게 대대로 멸시 받았던 서민들의 간절한 소망이 침략국 일본에 의하여 드디어 이루어지게 되었다.
침략국 일본은 성씨도 없이 지내던 우리나라 절반 이상의 국민들에게「성씨(姓氏)의 평등(平等)」을 선물하였고 그동안 으스대며 서민(庶民)을 괴롭히던 양반 후예들의 자존심을 꺾어 놓았다. 이 때 많은 서민들의 창씨개명(創氏改名)은 대부분 기존 양반들의 성씨를 물려받거나 빌려 받는 형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성씨가 새로 생긴 서민들에게는 엄청난 기쁨이었다, 이렇게 창씨개명한 사람들은 자신들의 성씨는 다른 양반들처럼 훌륭한 먼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며, 자신의 집안은 옛날부터 훌륭한 관직에 뛰어난 학자들을 줄줄이 배출해 온 집안인 것처럼 자기 손자들에게 이야기하곤 하였다.
다시는 어떤 일을 하지 않겠다고 맹세할 때『성을 갈겠다』고 한다, 조상으로부터 물러 받은 성은 그만큼 신성하고 소중한 것이어서 그걸 바꾸는 것 이상의 치욕은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71년전 1930년 11월 10일 조선총독부는 우리고유의 성명(姓名)을 일본식 씨명(氏名)으로 바꾸는 창씨개명을 공포했다.
1895년 명성황후 시해 후 친일정권을 앞세운 단발령으로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머리카락을 자르게 하더니 성까지 갈도록 강요 한 것이다. 행정기관들과 학교, 전국 2,943개 경찰 주재소가 창씨개명 압박에 나섰다, 당시 한국인의 성은 341개, 전남 곡성의 유건영이라는 사람은『나라가 망할 때 죽지 못하고 30년 치욕 그들의 패륜과 난륜, 귀로서 듣지 못하고 눈으로 보지 못하겠다더니 이제 혈족의 성까지 빼앗으려 한다, 짐승이 돼 살기보다 죽음을 택하겠다,』는 유서를 남기고 목숨을 끊었다.
경남 동래의 50대 남자는 성을 이누코 견자(犬子)=개새끼라고 바꿔 신고 했다. 읍장이 왜 이렇게 지었느냐고 묻자 『조선인은 성을 바꾸면 개새끼, 소 새끼라고 불리는데 내가 성을 바꿨으니 개새끼가 된 것』 아니겠느냐고 고 했다. 총독부 앞으로『천황족개살랑(天皇族皆殺郞)=일왕 가족을 몰살시키려는 사내, 소화망태랑(昭和亡太郞)=쇼와 일왕을 멸망시킬 남자』으로 창씨해도 되느냐고 야유하는 엽서를 보낸 이도 있었다.
그래도 자녀 입학부터 가족 취직, 행정서류 접수까지 온갖 일이 걸려 있으니 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 『김(金)은 가네다, 김전(金田) 가네무라김촌(金村), 가네모도김본(金本).』『 이(李)는 리노이에 이가(李家)』 식으로 흔적을 남기거나 『최(崔)는 요시야마 가산(佳山)』식으로 파자(破字)하는 방법이 등장했다, 자기 성을 최소한이나마 유지하려는 눈물겨운 노력이었다, 6개월 동안 어쩔 수 없이 창씨 개명한 사람이 인구의 80,5%에 이르렀다.
김(金)⦁이(李)⦁박(朴)⦁최(崔)⦁정(鄭)씨가 특히 많은 것은 20세기 초에 이러한 성씨들이 권세(權勢)가 높았거나 소작인(小作人)들을 많이 거느리고 있던 성씨들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그 기쁨도 오래가지 못하였다,
1940년대에 이르자 이번에는 일본식(日本式)으로 다시 창씨개명(創氏改名)하라는 것이었다, 명분(名分)은 조선(朝鮮)사람과 일본(日本)사람을 차별대우하지 않고 똑같이 평등하게 대우해 주겠다는 것이었다, 가문을 중시하는 전통적인 조선양반의 자존심으로서는 어림도 없는 일이었다, 망한 나라라도 그 성씨를 기념하여 만들어 가지는 것이 우리의 전통인데, 근본도 모르는 일본 오랑케의 성씨로 바꾼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말이었다, 진짜 양반이 반대를 하니 얼마 전에 성씨를 빌려 양반인 척 행세를 하는 사람들도 덩달아 반대를 하고 나섰다. 그렇게 해야 진짜 같이 보이니 더 열심히 반대를 하였다. 하여튼 우리나라의 많은 사람들은 수백 년 동안 사모하던 양반의 성씨로 창씨개명한지 40년도 채 못 되어 또 다시 창씨개명을 하게 되었다,
1900년대 초 서민들의 창씨개명 때는 서민이 양반과 동등해진다는 데 대하여 일부 양반 계층에서 만 불쾌히 여기는 정도로 끝났지만, 1940년대 창씨개명 때는 우리나라 전 국민이 자신들의 원래 출신에 상관없이 일제히 반대하였다. 수천 년간 오랑캐 취급을 하며 업신여기고 깔보았던 왜놈들의 성씨로 바꾸라니 말도 안 된다는 것이었다, 더구나 일본의 성씨는 처음부터 우리나라의 눈치를 보아 가며 한 글자도 아닌 두 글자짜리로 만들어 쓰는 바람에 성씨에서부터 우리와 크게 차별대우를 받던 야만인, 오랑캐의 성씨가 아니었는가? 우리나라 사람들이 두 글자 자리의 성씨를 만들어 쓴다는 것은 스스로 오랑캐라고 인정하는 것과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더욱 결사적으로 반대한 것이었다, 그러나 일본의 강제에 못 이겨 결국 대부분의 우리나라 사람들은 창씨개명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로부터 불과 몇 년 뒤인 1945년에 해방이 되자, 모든 국민들은 일본식 성씨와 이름을 버리고 그 이전의 성씨와 이름으로 되돌아갔다, 그러나 1900년대 초의 비밀을 아는 많은 사람들은 대부분 죽어 버렸고, 여러 차례 전쟁을 거치는 동안 고향을 떠나서 사는 사람이 많아지자, 누가 진짜양반의 후손이고 누가 그 집 하인의 후손인지 정확히 아는 사람이 이제는 거의 없어져 버렸다.
1985년 인구조사 기록을 보면 아직도 성씨가 없는 사람이 180명이나 되는데, 그 사람들이 그 때까지 성씨를 만들지 못한 사람의 후손들이었는지 전쟁고아 출신이어서 부모가 누구인지 몰라서 그런 것인지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일본에서 천황의 직계가족은 성씨가 없이 이름만 만드는 것이 전통적으로 내려오고 있는데, 이러한 사실은 일본 천황의 조상이 원래 우리나라 사람이었을 것이라는 학설(學說)을 강하게 뒷받침해 주는 증거(證據)가 된다. 옛날 우리나라 사람들 대부분이 성씨(姓氏)가 없었다는 사실과 후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닌지 상당히 궁금하다.
--펌-- |
'자유공간 > 일반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세계를 매혹시키다 !-(동영상모음) (0) | 2013.01.31 |
---|---|
아~ 북한!! (0) | 2013.01.03 |
김동길 연설 동영상 (0) | 2012.11.30 |
영상보기 -귀중한 영상자료 이모저모 (0) | 2012.10.07 |
국가별 행복지수 ,대한민국은 과연 몇위? (0) | 2012.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