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멀티미디어

김해김씨 종친회 사진방

프리맨10 2014. 10. 9. 19:13

선조의 존영 

시조대왕과 왕후허씨의 존영

     

흥무대왕(김유신) 어진  


김수로 왕릉

소재지:경남 김해시 서상동 312

 


숭선전과 숭안전으로 들어가는 포덕문(布德門)


숭안전(崇安殿)

가락국 2대에서 9대까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곳입니다.


숭인문(崇仁門)

숭선전과 안향각으로 들어가는 문입니다.


안향각(安香閣),

1824년에 건립된 건물로 춘추제례 사용할 () () 하사 받아 보관하던 곳입니다.

왼쪽 건물이 시조대왕의 신위를 모시는 숭선전이다.


숭선전(崇善殿)

시조대왕 (김수로)의 신위를 모신곳이다.


 

수로왕릉(首露王陵, 사적 73),

왕릉(봉황대) 동북쪽 평지에 조상되어 있는데 원형 본토분으로 높이는 5 m입니다.

규모가 크거나 꾸밈이 화려하지 않은 평범한 무덤이었습니다.



      우리 가락종친의 가장 큰 행사는 춘추제례(경남 무형문화재 제11호)로서 

  음력 3월 15일(춘향대제)과 9월 15일(추향대제)에 올리며 제물은 익히지 않은 날 것을 사용합니다.

                               춘향대제-- 음력3월15일:김해 숭선전(시조왕)숭안전(2대도왕에서9대숙왕까지)

                                                 음력3월16일: 산청 덕양전(양왕)

                                                  음력3월17일:경주 숭무전(흥무대왕)--봄 제사                            

 

가락국시조대왕 숭선전 추향대제 개최
○ 일 시 : 2010. 10. 22() 11:00 《음력 9. 15
○ 장 소 : 숭선전(김해시 서상동 수로왕릉)
○ 주 관 : 숭선전(참봉 김봉대)
○ 추모대상 : 시조대왕 ~ 9대왕(9)
○ 참석인원 : 5천여명(김해 김씨, 김해 허씨, 인천 이씨 종친 등)
○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1호임(1990. 12. 20 지정

 

  덕양전(德讓殿)-경남 문화재자료 제50

 

소재지 : 경남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371 

 

이전각은 가락국의 마지막왕 구형왕과 그 왕비(桂花)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받드는 곳이다.

 

 

  구형왕은 532년에 신라 법흥왕에게 나라를 선양한후 이곳 왕산 수정궁으로 옮겨 살다가 5년후 돌아가셨다. 그때부터 향화(香火)를 계속 받들었으며,이후 전화(戰禍)로 중단된 것을 1798년 심릉후 능아래 능침을 지으면서 다시 향례(香禮)를 올리게 되었다. 1898년 수로왕의 능침이 숭선전으로 사액될때 그명칭도 덕양전으로개칭되었으며, 1930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 되었다. 지금의 건물은 1991년 문화재 정화사업으로 중건된 것이다.
덕양전(德讓殿)은 담장을 자연암석으로 쌓아 ‘전 구형왕릉’과 유사한 면의 느낌을 가지고 있다. 덕양전 경내에는 덕양전, 수창궁, 홍살문, 영정각, 안향각, 정숙당, 추모재, 동재, 서재. 해산루 등의 건축물과 연못이 있으며,해마다 음력 3 16일과 9 16일에 제향(祭香)을 올리고 있다.


구형왕릉

 구형왕릉(양왕릉)은 경남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산 16번지에 있는 거대한 탑형식(塔形式)의 적석묘(積石墓)로 우리나라 유일의 석릉(石陵)이며 사적 21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릉림(陵林) 42만평이다.  전면이 7단으로 이루고 있는데 총 높이가 7.15m이고 제4단째의 동쪽을 향한 면에 감실을 모으고 있는 것이 이 능()의 특징이다. 이 구형왕릉(仇衡王陵)에 대해서는 조선 정조 22년에 산청군 좌수 민경원이 이능에 기우제를 지내고 돌아가는 길에 능에서 1.5km 정도 떨어진 절에들려 잠시 쉬고 있다가 시렁에 얹혀 있는 궤에 먼지가 수북히 쌓인 것을 보고 스님에게 그 까닭을 물으니 스님은 「옛날에 누구든지 이 궤에 손을 대기만 하면 큰 벌을 받는다. 는 이야기가 전해 오므로 그대로 모시고 있다고 했다. 이 말을 듣고 민경원(閔景元)는 더욱 호기심이 들어 스님의 만류를 뿌리치고 궤를 열어보니 기우제를 지낸 큰 석묘(石墓)가 바로 구형왕(仇衡王)의 능()이라는 기록과 영정, 갑옷, 칼등이 들어 있었다 .

 

 


숭무전(崇武殿)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충효동314

숭무전은 삼국통일의 위엄을 완성한 흥무대왕신라 김유신장군의 위패을 모신 곳이다.  

 경주시 충효동 산 7번지에 상부는 토봉(土封)이요 하부는 24개의 호석을 병풍같이 두른 웅장한 능이 바로 흥무왕(諱 金庾信) ()이며 사적 27호로 지정(指定)되어 있다. 흥무왕(興武王)은 삼국통일(三國統一)의 원훈(元勳)이요 신라 최대의 영웅(英雄)으로서 후세(後世)까지 숭앙(崇仰) 받는 인물로 문무왕(文武王) 13(673) 7 1일에 서거(逝去)하셨다.서거(逝去)한지 162년 만인(835) 신라 42대 흥덕왕(興德王) 때 흥무왕(興武王)으로 추봉(推捧)되어  현재와 같은 석조(石造)의 물()이 영조(營造)되였다. () 아래 금산재(金山齋)가 있어서 능을 관리하였으나 전각(殿閣)이 없어 능재(陵齋)을 모시고 있었다.이 역시 3능 성역화 사업의  일환으로 1992 9월 전각을 완공하고 興武王과 왕후 지소부인(智炤夫人) 의  위패를 모셨고 다시 숭무전(崇武殿)을 건립(建立)하여 왕()으로 추봉(推捧)된지 1170여년 만에  전각(殿閣)에서 향화(香化)를 받들게 되었다 .

          

                


저산서원(楮山書院)

소재지:경남 창원시 대산면 유동리

김해김씨삼현파 중시조 1대 官(문정공),2대文淑(문숙),3대沆(),4대 壻()  이상4분이 봉안되어있음.

중시조 ( 휘 관 ) 할아버지 묘제를 지내는 모습                                     극일 절효공님의 묘/모암제(절효공님을 모신제)


 자계서원(紫溪書院)

소재지: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서원리 85

삼현파인 김극일 김일손 김대유 신위가 봉안되어있음.

 


조선 초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김일손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하여 중종
13(1518)에 지은 서원이다 선조 11(1578)에 다시 지었으며,

임진왜란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광해군 7(1615)에 다시 짓고  김극일과 김대유를 더하여 모셨다.현종 2(1661)자계(紫溪)’라는 사액을 받아 나라의 공인과 경제적 지원을 받게 되었다. 고종 8(1871)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1924년에 복원되었다. 자계는 연산군 4년 무오사화(1498)로 김일손이 화를 입자 서원 앞을 흐르는 물이 3일 동안 붉게 변한데서 유래하였으며, 서원 이름도 자계서원이라 부르게 되었다. 지금 남아있는 건물로는 사당인 존덕사와 제사준비를 하는 전사청, 강당인 보인당, 신문, 영귀루, ·서재 등이다. 이 중 영귀루와 동재·서재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영귀루는 서원에서의 여러 행사를 하고, 학생들이 모여 시를 짓고 풍류를 즐기던 곳이다. 동재와 서재는 학생들이 공부하고 숙식하는 생활공간이다 영귀루 옆에는 김일손이 심었다고 전하는 은행나무가 있고, 원정비·신도비 등이 비각 안에 있다. 『연려실기술』등 수십 권의 문집이 소장되어 있으며, 유물로는 칠현금이 보관되어 있다 지금은 교육기능은 없어지고, 매년 2월과 8월에 제사만 지내고 있다.

 

 

탁영 김일손 지묘 - 경북 청도군 이서면 수야리 수야산


覽德齊(람덕제)

소재지:경북 김천시 농소면 봉곡1 1333번지

봉곡1대 諱 致星 할아버지 신위를 모신 제실(묘소:남원)

            모월당내외분 묘/김천시 남면 농소면 대수동 산30번지                                 모월당장남 정일내외분/ 차남 정룡 내외분                                                         

 

                                                                                                            ☞ 이전으로

 

'자료실 > 멀티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해김씨 삼현파 영자득자 후손 종회 가계도  (0) 2014.10.25
족보상식  (0) 2014.10.25
제수 진설법  (0) 2014.10.09
세계도  (0) 2014.10.09
달빛사진  (0) 2012.02.13